Idle On

IdleOn 방치(AFK) 모드 - 게임 메커니즘(4)

[번즈] 2023. 7. 17. 08:24

방치(AFK) 모드

방치(AFK) 모드란 영어로 하면 Away From Keyboard로 키보드에서 손을 뗀 상태를 말합니다. 이 게임에서는 정확히는 접속을 종료한 상태를 의미하는데요. 여러 개의 캐릭터가 존재하는 만큼, 한 캐릭터로 접속한 상태라면 다른 캐릭터들은 모두 방치(AFK) 모드로 유지됩니다.

 

방치(AFK)를 해두면 정말 편한데 그 만큼 디메리트가 있습니다. 그것은 다음 스크린샷에서 확인할 수 있는 AFK 효율(AFK Gain Rate)을 통해 알 수 있는데요. 우선 스크린샷을 먼저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FK Info 창: [Menu] -> [AFK Info]를 클릭하면 등장

  • Fighting Green Mushrooms: 지금 현재 맵의 몬스터의 이름입니다. 현재 맵의 몬스터는 Green Mushrooms입니다.
    • 이 게임은 방치형 게임이다 보니 계산의 단순화를 위해 한 맵에는 한 몬스터만이 스폰됩니다.
  • Kills/Hr: 시간당 잡을 수 있는 몬스터의 수입니다.
    • 대미지(Damage), 공격 속도(Weapon Speed), 이동 속도(Movement Speed), 몬스터 리스폰(Spawn Rate), 퀵슬롯에 등록된 탤런트(Assigned Attack Moves)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 공식적으로 인정된 것은 없지만 최대치가 제한(Kill caps)되어 있으며 해당 기준을 넘길 수 없습니다. 몬스터 리스폰(Spawn Rate)이 킬 최대치(Kill caps)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곱해진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 Money/Hr: 시간당 얻는 재화의 양입니다.
    • 메이플과 같이 코인에도 드랍률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간당 잡을 수 있는 몬스터의 수와 드랍률(Drop Rate = Drop Rarity = Drop Chance)에 영향을 받고 재화 획득량(Money % From Monsters)으로 값을 키울 수 있습니다. 
  • EXP/Hr: 시간당 얻는 경험치(Class exp)의 양입니다.
    • 시간당 잡을 수 있는 몬스터의 수에 영향을 받고 경험치 획득량(EXP % From Monsters)으로 값을 키울 수 있습니다.
  • Survivability: 방치(AFK) 모드를 했을 때 얼마큼 빨리 죽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방치(AFK) 모드에서만 적용이 되는 값입니다.
    • 방어(Defence), 회복 음식(Foods), HP에 영향을 받으며 대미지를 받지 않을 정도의 방어(Defence)이거나 한 시간 동안 충분한 회복 음식(Foods)을 가졌다면 100%를 보여줍니다.
    • 방치(AFK) 모드 시간 동안 음식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음식이 모두 소모된 시점부터의 보상은 제외하고 얻게 됩니다.
  • AFK Gains Rate: 방치(AFK) 모드의 효율입니다.
    • 각 작업별로 다르지만 사냥의 AFK 효율(AFK Gain Rate)은 기본적으로 20%의 수치를 갖고 있습니다. 
  • No DMG Req: 몬스터에게 대미지를 받지 않기 위해 요구하는 방어(Defence) 수치입니다.
  • Monster HP: 몬스터의 체력입니다.
    • 최대 대미지(Max Damage)가 몬스터의 체력보다 높으면 시간당 몬스터 킬(Kiils/Hr)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 Card Odds: 카드의 드랍률입니다. 확률이다 보니 정확하지 않아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 Hit Chance: 명중률입니다.
    • 100%를 맞추시면 시간당 몬스터 킬(Kill/Hr)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 Active Prayers: 월드 3에 도달할 경우 얻을 수 있는 기능(유리한 버프와 불리한 디버프를 동시에 주는 기능)입니다.) 초반에는 무시하셔도 됩니다.
  • Accuracy Req: 요구 명중치입니다.
    • 5% 이하의 명중률은 0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한 대라도 때리고 싶다면 해당 명중 치를 맞추셔야 합니다. 다만 효율은 엄청나게 떨어집니다.

 

Kills/Hr: 시간당 몬스터 킬 수
Money/Hr: 시간당 얻는 재화
EXP/Hr: 시간당 얻는 경험치
Survivability: 방치(AFK) 모드를 했을 때 얼마큼 빨리 죽는지
AFK Gains Rate: 방치(AFK) 효율
No DMG Req: 대미지 0 요구 방어 수치
Monster HP: 몬스터의 체력
Card Odds: 카드의 드랍률
Hit Chance: 명중률
Accuracy Req: 요구 명중치

방치 효율(AFK Gains Rate)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방치 효율입니다. 게임을 플레이하다 보면 무조건 다른 캐릭터들은 방치(AFK) 모드에 들어가기 때문에 가장 핵심이 되는 수치가 되겠습니다. 1차 전직을 하게 되면 각 클래스별로 방치 효율(AFK Gains Rate)을 올릴 수 있는 탤런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전사(Warrior) AFK 탤런트

 

Idle Brawling: 사냥의 방치 효율(AFK Gains Rate)을 올려줍니다. 레벨 100에 13.33%p 입니다.

 

Idle Skilling: 전사에게 특화된 스킬(Specialized Skills; 광물 채집, 낚시)의 방치 효율(AFK Gains Rate)을 올려줍니다. 레벨 100에 14.29%p 입니다.

마법사(Mage) AFK 탤런트

 

Idle Casting: 사냥의 방치 효율(AFK Gains Rate)을 올려줍니다. 레벨 100에 13.33%p 입니다.

 

Active AFK'er: 마법사에게 특화된 스킬(Specialized Skills; 목재 채집)의 방치 효율(AFK Gains Rate)을 올려줍니다. 레벨 100에 14.29%p 입니다.

 

궁수(Archer) AFK 탤런트

 

Idle Shooting: 사냥의 방치 효율(AFK Gains Rate)을 올려줍니다. 레벨 100에 13.33%p 입니다.

 

궁수는 특화가 제련(Smithing)이다 보니 방치 효율(AFK Gains Rate) 대신 생산 속도를 증가시켜주는 스킬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카드, 장비, 별자리 등 여러 컨텐츠에서도 얻을 수 있습니다.

 

액티브(Active)

액티브(Acitve)는 방치(AFK) 모드와는 반대 되는 말로, 직접 플레이(Manual) 하든 사냥이나 채집을 오토(Auto)로 놓든 일단 켜놓는 것을 말합니다. 방치 효율(AFK Gains Rate)은 100%를 넘기기 굉장히 어렵기 때문에 액티브로 플레이하는 것이 효율이 좋습니다. 다만 이렇게 될 경우 자동 습득(Auto Loot)기능이 반 강제적이 됩니다. (6~7천원짜리 게임을 구매하신다고 생각하시면 속이 편할 것 같습니다.)

방치 효율(AFK Gains Rate)이 나쁜 초중반까지는 액티브(Active) 플레이가 나은 편
후반에는 본인의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