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데스 브링어 스킬
- idle on 이벤트
- 아케이드 골드볼
- 데스 브링어 공략
- floppy disc
- deathbringer
- bloodberserker
- death bringer
- 게임 메커니즘
- idleon 공략
- 게임 팁
- fixening
- 타워 디펜스 저장
- endless summoning
- tower defence
- 데스 브링어 탤런트
- 업데이트
- 데스 브링어
- IdleOn
- upgrade vault
- 업그레이드 금고
- tower defence saving
- Idle On
- 업그레이드 볼트
- 블러드버서커
- idle on 공략
- 아케이드 보너스
- idleon 이벤트
- giftmas
- 월드 1 공략
- Today
- Total
번즈의 게임로그
Idle On 대장일(Smithing) - 월드 1 공략(3) 본문
대장일(Smithing)
대장일(원래 제련이라 썼다가 Forge랑 뜻이 겹쳐 원 뜻에 더 가까운 대장일로 수정했습니다.)은 월드 1에 존재하는 궁수(Archer)의 특화 생산 스킬(Specialized Skill)입니다. (월드를 추가로 열어도 월드 1로 돌아와서 진행해야 합니다.)
제작(Craft)
제작은 대장일의 일종으로 가지고 있는 그리고 추가로 배운 레시피를 토대로 재료와 함께 장비를 비롯한 여러 물건들을 만드는 기능입니다.
인벤토리에 재료를 가지고 있어야 제작이 가능합니다. 한 번 인벤토리에서 제작을 한 경우, 창고 재료로 제작하기(Craft from Storage) 버튼이 생기며, 창고에 재료가 충분히 있다면 클릭할 수 있게 활성화됩니다. 이 기능은 모든 캐릭터가 공유하지만 제작할 물건이 요구하는 대장일(Smithing) 레벨에 도달하지 못한 캐릭터는 버튼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버그로 모든 조건을 만족했는데도 버튼이 생성되지 않는 물건들이 몇 개 있다고 합니다.
생산(Produce)
생산도 또한 대장일(Smithing)의 일종으로 재료 아이템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꾸준히 생산하여 대장일(Smithing) 레벨을 올리고 제작(Craft) 등 여러 곳에서 쓰이는 재료를 쌓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젬 샵(Gem Shop)
젬 샵(Gem Shop)에서 Infinity Hammer를 사면 생산 품목을 하나 더 고를 수 있습니다.(월드 2의 연금술(Alchemy)을 통해 하나 더 늘릴 수 있습니다. 기존 망치까지 총 3개) 같은 아이템을 중복으로 생산도 가능하며 중복으로 생산하는 방법은 생산하고 있는 재료의 " PRODUCE " 버튼이 있었던 자리를 클릭하게 되면 알아서 x2(x3도 가능)로 생산이 가능합니다.
중복 생산을 위한 망치 추가는
젬 샵(Gem Shop)에서 구매 or/and
월드 2의 연금술(Alchemy)에서 업그레이드
업그레이드
업그레이드 기능도 있습니다. 하단에 보시면 포인트 구매(Buy Points)와 포인트 사용(Spend Points)가 있습니다. 포인트(Points)는 기본적으로 대장일(Smithing) 레벨이 오르면 1씩 얻을 수 있으며 포인트 구매를 통해 코인이나 몬스터 드랍 아이템으로 포인트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Points로 제작과 생산 시의 얻는 경험치(Bonus Exp), 생산 속도(Speed/Hr), 생산 한도(Capacity)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가장 우선시되는 것은 생산 속도입니다. 생산 속도를 우선해서 올리되 추가 경험치를 100%로 만들고 생산 한도도 AFK 기간이 길다고 판단되면 올리셔도 좋습니다.
추가로,
생산 한도는 현재 캐릭터의 재료 소지 한도(Materials Carry Cap)에 비례하며 아무것도 업그레이드하지 않았을 때 현재 캐릭터의 재료 소지 한도(Meterials Carry Cap)의 두 배입니다.
[Codex] - [Quik Ref]탭 - [Anvil]에서 생산(Produce)된 재료 아이템을 빠른 창고 저장(Quick Deposit) 버튼으로 바로 창고로 넣을 수 있으니 생산 한도(Produce Capacity)에 도달하기 전에 자주 확인하면 좋습니다.
경험치 효율은 실타래(Thread)가 가장 좋으나 모든 재료가 골고루 필요하니 적절하게 생산해주세요.
대장일(Smithing) 1렙당 1포인트 or 코인이나 몬스터 드랍템으로 포인트 구매
생산 속도(Speed/hr)가 1순위
생산 한도(Produce Capacity) = 재료 소지 한도(Meterial Carry Cap)의 2배
경험치 효율 = 실타래(Thread) but 모든 재료 필요
제련(Forge)
제련(Forge)은 광물 원석(Ore)을 녹여 괴(Bar)로 만드는 기능입니다. 원석을 넣으면 일정 시간 후 알아서 괴로 바꿔주며 상점이나 퀘스트, 몬스터 드랍으로 얻는 원유(Crude Oil)등을 이용하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Tap 버튼을 활성화 하면 드래그&드랍 없이 한번에 광물을 용광로에 넣거나 뺄 수 있습니다.
Deposit 버튼을 누르면 인벤토리의 광물을 알아서 용광로에 넣어줍니다.
업그레이드
제련 또한 업그레이드가 있으며 코인으로만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 새 제련 슬롯(New Forge Slot): 새 제련 슬롯을 늘려줍니다. 총 16개가 한도이며 슬롯 4개당 용광로가 하나씩 추가됩니다. 빨강, 파랑, 초록, 자주색의 화염을 갖고 각 용광로 별로 다른 카드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얻는 용광로일수록 카드를 얻을 확률이 줄어듭니다.
- 원석 한도 부스트(Ore Capacity Boost): 제련 슬롯의 원석 한도를 늘려 줍니다.
- 제련 속도(Forge Speed): 제련의 속도를 늘려 줍니다.
- 제련 경험치 획득량(Forge EXP Gain): 제련의 경험치 획득량(Smithing 경험치)을 늘려줍니다.
- 괴 노다지(Bar Bonanza): 괴(Bar)를 하나 더 추가로 생산할 확률을 늘려줍니다.
- 뿌뿌 출발(Puff Puff go): 용광로 카드가 드랍될 확률을 늘려줍니다.
가장 우선이 되는 업그레이드는 일정 확률로 괴(Bar)를 하나 더 추가로 생산하는 괴 노다지(Bar Bonanza)입니다. 광물의 희귀도가 올라갈 수록 소모하는 원석(Ore)도 많아지는데, 소모하는 원석(Ore) 대비 괴(Bar)를 더 얻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광물 획득량에 맞게 슬롯과 한도 업그레이드
괴 노다지(Bar Bonanza) 우선 업그레이드
그 이외 자유 업그레이드
'Idle 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Idle On 별자리(Star Sign) 해금 - 월드 1 공략(5) (0) | 2023.07.23 |
---|---|
Idle On 미션(Tasks) - 월드 1 공략(4) (0) | 2023.07.22 |
Idle On 스탬프(Stamps) - 월드 1 공략(2) (0) | 2023.07.20 |
Idle On 도움되는 사이트 추천 - 미리 알면 좋은 내용(2) (0) | 2023.07.19 |
Idle On The Slab(아이템 수집) - 미리 알면 좋은 내용 (0) | 2023.07.19 |